생각해봅시다-계경천도 이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조선 왕조의 정통성을 부각시킬 수 있고 한강 수운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한양을 도읍지로 정하였다. 그는 풍수길지론에 입각하여 민심을 수습한 후 1394년 11월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였으며, 1395년에는 한양부를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였다. 그 후 ..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9.12
정종의 업적 1398년 8월 정안군(靖安君) 방원(芳遠)이 주동이 된 제1차왕자의 난이 성공하면서 세자책봉문제가 제기되자 “당초부터 대의를 주창하고 개국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업적은 모두 정안군의 공로인데 내가 어찌 세자가 될 수 있느냐?”라고 하면서 완강하게 거절하였으나 정안군의 양보..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9.12
권한 대행 ㅇ 권한대행 임금 이성계의 둘째아들 방과는 다섯째 이방원이 일으킨 1차 왕자의 난으로 왕이 되어 개경으로 재천도한다. 넷째 방간과 이방원이 충돌한 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이 승리하자 그에게 왕위를 물려줄때까지 2년 2개월... 왕이되 실권은 없는 자리에서 미련없이 내려왔다. 실..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9.12
바지사장 정종(定宗). 이성계의 2남. 휘(諱)는 '방과'. 휘는 '꺼린다'의 의미로 당시에 대통령 이름 함부로 부르지 말란 뜻이다. 향년 63세 (1357~1419). 재위기간 1398~1400년까지 2년 남짓. 방과는 이방원의 바지사장 태조 이성계의 5남 이방원(훗날 조선 3대 대통령 태종)이 태조 말년 제 1차 왕자의 난(1398)..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9.12
정종의 격구 [조선] 정종 이방과와 격구 [정종은 정말 격구를 좋아했을까?] 조선초의 격구에는 두 종류가 있었다. 오늘날의 폴로 경기처럼 두 패로 나뉘어 말을 타고 달리면서 막대기로 공을 쳐서 골대에 넣는 격구가 있었고, 또 말을 타지 않고 막대기로 공을 쳐서 맨땅의 구멍에 넣는 골프와 비슷한 ..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9.12
조선 2대왕 정종 정종(定宗, 1357년~1419년, 재위 1398년~1400년)은 조선의 제2대 임금이다. 휘는 경(曔)(초명 방과(芳果)), 자는 광원(光遠), 정식 명칭은 정종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1] 태조와 신의왕후의 둘째 아들이다. [편집] 생애 1357년 음력 7월 1일에 태조와 신의왕후 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3.29
조선 2대왕 정종 정종(1357 - 1419) 짧은 정치, 힘없는 임금 : 태조와 신의 왕후 한씨사이에서 2째 아들로 태어났다. (영안대군 방과) 태조의 장남인 방우가 병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이성계는 방과를 세자로 책봉했던 것이다. 여하튼 조선 2대 임금으로 추대되었지만 이방원 등을 비롯한 개국공신들에 의.. 정종 이방과1398-1400 201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