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와 유교, 유교의 변화 유교 사상이 조선의 교육에 끼친 영향을 논하기 앞어서 먼저 고려말기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논할 때 유교는 정확히 성리학을 의미합니다. 공자가 유학을 한 이래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를 개창한 이성계, 특히 주목할 것은 신흥사대부라 불리는 세력입니다. 이.. 조선왕조 2013.02.21
조-종-군 1. "군"이 붙는 이유 '군'이란 후궁에게서 난 아들, 그리고 대군에게서 난 아들을 말합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이 '군'이 붙는 이유는 왕이였다가 각각 인조반정과 중종반정에 의해 왕의 신분에서 강등되었기때문이죠. 2. "조"와 "종"의 차이 어느 시대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최고 통지차에 대.. 조선왕조 2012.03.30
[스크랩] 왕을 죽음으로 몰아간 왕의 여자들 그렇다면 과연 조선 왕조 500년 역사 상 왕실 여성에 의한 임금의 '독살' 은 실제로 있었던 것일까? 임금의 목숨줄을 움켜 쥐고 때로는 임금의 죽음을 진두지휘하고, 때로는 임금의 죽음을 기도하고 원했던 조선 왕조의 여인들. 왜 그녀들은 임금을 죽여야만 했는가? 대비가 되기 위해 시동.. 조선왕조 2012.03.30
조선 왕조 프로필 제1대 태조 (1392~1398) 이자춘(환조)의 2남, 이성계 / 신의왕후한씨 외 부인2, 8남 5녀 / 6년 2개월 고려의 명장, 위화도회군(1388)으로 정권을 잡은뒤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개국함(1392) 제2대 정종 (1398~1400) 태조의 2남, 이방과 / 정안왕후김씨 외 부인7, 15남 8녀 / 2년 2개월 제1차 왕자의 난(1398, 무.. 조선왕조 2012.03.29
왕의 딸들 간단한 우리나라 역사 연표(왕의 딸들에 대한 요약 정리-아래) 왕의 딸 중에 적녀는 공주(公主)라 하고, 서녀는 옹주(翁主)라고 부릅니다. 허나 조선이 건국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적녀 · 서녀에 대한 호칭 구분은 분명히 않았습니다. 조선 초에는 왕의 딸과 후궁을 모두 궁주(宮主)라고 불.. 조선왕조 2012.03.28